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교육 현장에서는 방대한 학습 데이터가 생성되고 있습니다. 과제 제출 시간, 퀴즈 정답률, 강의 시청 패턴, 토론 참여 빈도 등은 모두 학습자의 학습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데이터입니다. 과거에는 성적이나 시험 점수 같은 결과 중심의 평가 방식이 일반적이었으나, 이제는 학습 과정 전반을 추적하고 분석하여 성취도를 다각도로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도구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를 학습 데이터 분석 기반 성취도 평가 도구라고 부릅니다. 이러한 도구는 단순히 점수를 매기는 기능을 넘어, 학습자가 어떤 영역에서 강점을 보이고 어디에서 어려움을 겪는지를 정밀하게 진단합니다. 나아가 교사에게는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하고, 교육 기관에는 학습 효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합니다..